- [Research] Jul 26, 2024
식욕·감정도 제어…세계 최초 자기장으로 뇌 회로 자유자재 조절
동아일보국내 연구진이 동물의 뇌를 자기장으로 자극해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다양한 뇌 회로 작동 원리를 규명한다면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Research] Mar 12, 2024
'뇌 질환자 부작용 줄인'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나왔다
연합뉴스기초과학연구원(IBS)은 나노의학 연구단 천진우 단장과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박장웅 교수 연구팀이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정현호·장진우 교수팀과 함께 뇌 조직처럼 부드러운 인공 신경 전극을 쥐의 뇌에 이식하고, 3D 프린터로 전자회로를 두개골 표면에 인쇄해 뇌파(신경 신호)를 장기간 송·수신하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달 27일 실렸다.
- [Research] Mar 8, 2024
세포 크기 로봇들, 혈관·뇌·장기 깊숙이 침투해 치료
조선일보나노미터 크기로 자성 의학 로봇을 만들려는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지난달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천진우 IBS 나노의학 연구단장(연세대 언더우드 특훈교수) 연구팀이 유전자 신호를 감지해 스스로 움직이는 나노 로봇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 [Research] Feb 14, 2024
스스로 질병 찾아 치료하는 ‘바이러스 크기’ 생체 나노로봇 개발
조선비즈천진우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 연구단 단장 겸 연세대 언더우드 특훈교수 연구진은 유전자 신호를 감지해 스스로 클러치를 작동하는 생체 나노로봇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200㎚ 크기의 극미세 영역 내 엔진, 로터(회전체), 클러치와 같은 기계 장치를 탑재해 특정 질병 인자를 감지하고 세포와 결합해 생체 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 [Research] Feb 2, 2024
나노의학연구단, 나노-자기유전학 기술 적용한 파킨슨병 치료법 개발
동아사이언스나노의학연구단 천진우 단장 연구팀이 자기장을 이용해 파킨슨병을 치료할 수 있는 ’나노-자기유전학 기반 뇌심부자극술‘을 개발했다. 파킨슨병뿐 아니라 뇌전증, 알츠하이머병 등 다양한 신경 질환 연구 및 치료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에 1월 10일 게재됐다.
- [Research] Oct 20, 2023
치료제 없는 인체 조직 섬유화증, 정밀 진단법 찾았다
조선비즈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 연구단 천진우 단장(연세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인체 조직의 경화도를 초음파로 정확하게 탐지해 질병 진단이 가능한 새로운 나노기술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게재됐다.
- [Research] Jan 10, 2023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 원리 찾았다
조선일보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찾았다. 아밀로이드베타가 만들어지는 양을 조절하면 알츠하이머병 예방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천진우 나노의학 연구단 단장이 이끄는 국제 공동 연구진이 지난달 2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에 “여러 세포가 연결될 때 만들어지는 구조가 세포 신호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를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 [Research] Apr 21, 2022
나노 물질로 바이러스 신속·정확 검출, 고등과학원 다양한 성과에 유엔도 주목
조선일보고등과학원이라는 최적의 학문·연구 인프라를 구축한 연세대는 최고 수준의 교수·연구원·학생들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러한 성과에 유엔(UN)도 주목하고 있다. 유엔은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 차원에서 올해를 ‘세계 기초과학의 해’로 지정하며, 기초과학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기 때문이다.
- [Research] Jan 3, 2022
University Research Team Develops High-Speed nanoPCR Technology to Diagnose COVID-19
United Nations Academic Impact나노의학연구단 단장 천진우 교수(연세대학교 화학과)와 하버드 의과대학 이학호 교수 공동 연구팀의 NanoPCR 연구 성과가 UN이 채택한 17개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 중, SDG 3. Good Health and Well-Being 달성에 기여함에 따라 UN Academic Impact에 게재되었다.